목록분류 전체보기 (35)
도도섀 아카이브

본인이 관심 있는 회사의 제품을 하나 선정해 보고 다음 질문에 답해 봅니다. 1. 도도 카트는 어떤 서비스 유형에 해당할까? 이번 과제에서 선정한 프로덕트는 매장 솔루션 스타트업 기업인 스포카가 20년도 8월에 출시한 식자재 비용관리 애플리케이션인 '도도 카트'이다. 도도 카트는 식자재 구매 명세표를 찍어 애플리케이션에 업로드만 하면 자동으로 장부로 정리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지출 비용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리포트를 제공하여 거래처와 주요 품목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돕고, 구멍 난 식자재비 관리를 스마트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등록된 납품 거래처를 꼼꼼히 비교할 수 있는 '식자재 거래처 찾기' 서비스로 점주들에게 도움을 줌과 동시에 유통업자의 농산물 판매 기회도 확보시켜 시스템 ..

1. 한 가지 프로덕트를 선정하고 해당 프로덕트의 핵심 기능과 관련된 지표 2개를 선정합니다. 이번 과제에서 선정한 프로덕트는 지난 과제에서 한번 다룬 적이 있었던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인 '올웨이즈'이다. 프로덕트에 관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좋겠다. [코드스테이츠 PMB 11기_W3D3/4] 올웨이즈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KPI,핵심성장지표,OKRs) 과제 1) 선정한 기업의 KPI, 핵심 성장 지표, ORK를 설정해보자. 내가 3주 차의 마지막 과제로 선정한 프로덕트는 '올웨이즈'이다. 올웨이즈는 팀 구매 방식의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이다. 작 dodosyae.tistory.com 링크를 참조하기 귀찮은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정리하자면, 올웨이즈의 ..

오늘 데일리 과제에서 선정한 프로덕트는 내가 예전에 한창 러닝에 빠졌을 때 자주 사용했던 애플리케이션인 'Nike Run Club'이다. 핸드폰의 GPS를 추적하여 러닝 중 오디오로 가이드 메시지 제공, 월별 챌린지,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원하는 거리를 설정하는 맞춤형 챌린지, 코칭 플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기 부여를 제공하여 러닝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이다. 부트캠프에 탑승한 지 벌써 6주 차인데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있으면서 지내니 몸도 뻐근하고, 날도 풀린 겸 러닝을 재개해야겠다고 생각하여 과제하면서 의지를 다지기 위해서 선정하게 되었다. 1. 프로덕트에서 유저가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Flow Chart를 간단하게 만들어 봅시다. 나이키 런 클럽에서는 러닝 기록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

프로덕트 성장 전략, Growth! 이번 위클리 프로젝트의 목표는 이전에 기획한 MVP를 성장시킬 수 있는 요소를 분석하여 성장 전략(Growth Point)를 구체화하여 전략 포인트를 도출하는 것이다. 푸딘코는 경쟁 서비스 대비 어떤 전략을 실행하고 있는지, Funnel 단계별로 분석하여 올해가 지나기 전 맛집 추천을 선도하는 서비스로 이끌 수 있는 중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세워 보겠다. 1. 푸딘코는 Growth Point를 찾았을까? 먼저 푸딘코가 맛집 추천 서비스 플랫폼으로써 어떤 전략을 실행 중인지 먼저 파악해 보도록 하자. 첫 번째 위클리 과제에서 푸딘코가 어떤 서비스인지, 타 플랫폼 대비 어떤 강점과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 나의 생각을 담아 자세하게 정리하였으니 아래의 내용을 읽기 전에 한 번 ..

[W5D3] A/B 테스트 설계하기 Part. 1 1. 앱 서비스(혹은 웹 서비스) 1가지를 선택하여 랜딩 페이지를 분석해 주세요. 이번 과제에서 선정한 프로덕트는 '푸딘코'이다. 푸딘코는 지도 기반으로 광고 없이 자체적으로 선정한 맛집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인스타그램의 성공에 힘입어 최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런칭하였다. 사실 푸딘코는 나의 위클리 프로젝트의 프로덕트로 선정하여 과제를 진행 중에 있다. 서비스에 대한 상세 소개는 첫 번째 위클리 과제에 자세히 설명해 놓았으므로 생략하고,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좋겠다. [코드스테이츠 PMB 11기_WP2] 푸딘코, 진짜 믿고 먹을 수 있나?(Design Thinking) 프로덕트 선정 내가 위클리 프로젝트에서 선정한 프로덕트는 '푸..

과제 1. AARRR 분석 세팅해 보기 1. 평소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1가지를 선정합니다. 내가 이번 과제에서 선정한 서비스는 '스타벅스 애플리케이션'이다. 스타벅스 앱은 사이렌 오더를 통해 다양한 메뉴를 직접 매장에 가지 않아도 비대면으로 주문하고,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스타벅스 카드를 등록하고 충전하여 바코드로 결제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문 및 결제뿐만 아니라 지인에게 상품권과 스타벅스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아이템을 선물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스타벅스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이다.(개인적인 취향이지만 내 입맛에 제일 잘 맞는다.) 나는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먹는다. 고된 부트캠프 일정을 소화하면서 커피 없이는 힘이 안 날 정도로 예전보다..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어떤 그로스 마케팅 전략이 적용되었는지 생각해 봅시다. 1. 평소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1가지를 선정합니다. 내가 선정한 서비스는 중고거래 플랫폼인 '번개장터'이다. 이제 중고거래는 많은 사람들의 일상이 되어버렸다. 리셀과 중고 거래 시장의 성장에 따라 자연스럽게 중고거래 플랫폼도 커지고 있다. 여러분들은 중고거래 플랫폼 하면 무엇이 제일 먼저 생각나는가? 대표적으로 꼽자면 '중고나라', '당근마켓', 그리고 '번개장터'일 것이다. 각 플랫폼들은 전략과 지향하는 바가 다르다. 예시를 들자면 당근마켓은 사용자 주변의 간편한 직거래를 할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번개장터는 어떤 전략을 취하고 있을까? 번개장터는 지역의 제한이 없으면서도 사용자 취향 중심,..

UX개선/개발 이번 주 위클리 프로젝트에서는 MVP 기획을 구체화시켜 보겠다. 고객이 겪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지난 과제에서 기획했던 기능을 보다 세밀하게 구체화하고, 최종적으로 고객이 가진 기존의 문제를 개선할 MVP 기획 문서를 가시화하는 것까지 진행하는 것이 과제의 목표이다. [코드스테이츠 PMB 11기_WP3] 푸딘코에 새로운 기능을 제안합니다 (MVP:Minimum Viable Product) 주제 : MVP 기획 (Minimum Viable Product) 이번 주 위클리 프로젝트에서는 지난주에 했던 Design Thinking Process를 통해 발견한 푸딘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소 기능 제품(MVP)을 기획해 보겠다. MVP는.. dodosyae.tistory.com ..